본문 바로가기

이슈

충암고 교감 막말 - 충암고 교감 이름은?, 서울 충암고는 어디?, 충암고 교감의 막말 이유는?

안녕하세요 MCSS입니다. 오늘 알아볼 이슈는 충암고 교감의 막말입니다. 

요새 무상급식 문제때문에 참 말이 많죠. 

홍준표 경남도지사부터 문재인 야당 대표까지 급식문제는 요새 핫이슈인데요. 

이번에 발생한 사건은 충암고 교감이 급식비를 안낸 미납자들을

 한명씩 불러 막말을 한 것이 논란이 되고있습니다. 

사건의 전말은 지난 4월 2일로 거슬러올라갑니다. 

서울 충암고 교감은 임시 식당 앞 복도에서 점심급식을 먹기 위하여

 줄을 서있던 고3학생들 앞에 서서 급식비 미납 명단을 들고

 약 40분간 한 사람씩 3월분 급식비 납부현황을 확인 후 식당에 들여보냈다고합니다.

 이 과정에서 급식비를 못낸 학생들에게 충암고 교감은 급식비가 밀린 기간을 

이야기하면서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고합니다. 


내일부터 오지마라,

 넌 1학년때부터 몇백만원을 안냈다. 

꺼져라. 밥먹지마라.

 너같은 애들때문에 전체가 피해를 보는것아니냐


충암고 교감의 이런 막말은 세간에 알려지면서

 최근 논란이던 무상급식 논란에 기름을 끼얹었는데요. 

충암고 교감이 이런 행동을 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충암고는 사립학교로 급식적자가 심각하다고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위하여 학부모들에게 급식비를 납입할 것을 독려하는

 문자, 가정통신문을 지속적으로 발송했으나 

급식비 납부는 미미하였으며 

이에 학교는 학생에게 급식비 납부를 독촉하는 

급식지도를 하기로 결정하고 이 결정에 따라

 충암고 교감이 급식 지도에 직접 나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소식이 커지자 충암고 교장은 학생들에게

 강압적인 발언은 해서도 안되고 한적도 없다고 주장했으며 

서울시 교육청은 이에 대한 사실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진상조사에 들어갔는데요.

 징계여부에 대해서는 비교육적 발언에 대해 

징계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히며 

부적절한 부분이 있다면 교감에 대한

 지도감독여부를 판단할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당사자인 충암고 교감은 급식은 먹되 

급식비를 먹으라고 체크해서 알려준 것이라며 

담임교사를 통해 미리 통보하기도 하였다며 

문제가 없다는 태도를 보였는데요. 

이런 반응은 여론을 더욱 악화시키고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학교 학생들이 교감의 폭언은 없었다며 허위선동이라고

주장하는 글이 속속 올라오고 있어 

공방전이 예상됩니다.








이 이야기가 논란이되면서

 충암고 교감인 김모씨가 누군지에 대하여 네티즌들의 궁금증이 커지고있는데요. 

아쉽게도 충암고는 교감이 2명입니다. 

거기다 김모씨로 알려졌지만

 충암고 교감은 학생 교감과 교무교감 2명으로 둘다 김씨입니다. 

네티즌 수사대는 둘 중 누가 주인공인지 추적하고있는데요. 

얼마있지않아 범인이 밝혀질 것으로 보입니다.


충암고등학교는 서울시 은평구에 있는 사립학교로 

이인관 선생이 1968년 교육부의 인가를 받아 

1969년 개교하였으며 1973년 현재의 교명인 충암고등학교로 변경하였습니다. 

충암고는 바둑부와 야구부가 유명합니다. 

바둑부의 경우 한국기원 기사의 40%를 충암학원출신이 장악하고있으며 

야구부의 경우 70년대 현재 한화이글스 감독인 김성근 감독이 

감독으로 재직하기도하였으며 

2011년 고교야구 주말리그에서 초대우승을 차지하기도 한 명문입니다. 



이런 명성에도 불구하고 학교는 자주 비리에 얽히는 모습을 보여줬는데요.

 1996년 당시 이모 이사장이 학교땅에 자신 소유의 스포츠센터를 짓고 

교사들에게 회원권을 강매하여 물의를 일으킨 바가 있으며

 공사비로 1억 1천만원을 부당하게 빼내 사용한 사실이 적발되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난방 시설 보수비 명목으로 서울시 교육청으로부터 

교육환경개선금 5억 5천여만원을 받아

 3억 5천만원을 횡령하여 구설수에 오르기도하였습니다.





이번 일에 대하여 네티즌들은 분노를 표출하고있는데요.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최근 무상급식이 핫이슈여서 관심이 많던 사안이기도하며 

이런식의 감정적 접근은 많은 사람들의 비난을 불러올 수 밖에 없습니다.

 이미 전교조, 참교육학부모회, 서울교육단체협의회 등

 시민단체 회원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교감에게 공개사과와 문책을 요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