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경남기업 성완종 사망 - 경남기업 성완종 회장은 왜 죽었을까?, 성완종은 누구?

안녕하세요? MCSS입니다. 

오늘 살펴볼 소식은 경남기업 성완종 사망소식입니다.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사망하였습니다.

 

서울 평창경찰서에 따르면 금일 새벽 5시 집에서 가출한 

성완종 회장을 금일 오후 3시 22분경 북한산 근처에서 

경남기업 성완종 회장이 사망한 것을 확인하였는데요. 


경남기업 성완종 회장은 9천 5백억원대의 분식회계, 천억원대의 횡령혐의로 

오늘 10시 30분 영장실질심사를 앞두고 있었습니다. 







사건의 전말을 살펴보면 경남기업 성완종 회장은 

오늘 새벽 5시, 유서를 남기고 홀연히 잠적하였는데요. 

오전 8시 6분 경 운전기사가 경남기업 성완종 회장이 없어진 것을 발견하고 

경찰에 신고하였으며 재차 아들이 파출소에 신고를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금일 오전까지 경남기업 성완종 회장의 행방은 묘연했는데요.


 경찰은 휴대폰 위치추적을 활용하여 서울시 종로구 평창동 근처에서

 마지막 신호가 잡힌 것을 발견하고 경찰과 수색견, 헬기를 동원하여 

이 일대를 수색하였며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경남기업 성완종 회장의 시체를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 일에 대해 정확히 알려면 사건이 일어나기 전 검찰이

 경남기업에 칼을 겨눈 이유부터 한번 살펴보아야겠는데요. 

경남기업은 이명박정부시절 자원외교에 참여하여

 성공불융자(정부에서 자원개발을 지원하며 실패 시 원금을 감면해주는 제도)를

 이용하여 해외에서 자원개발에 힘써왔는데요


하지만 이런 노력들이 모두 수포로 돌아가면서 투자한 돈은 모두 허공으로 사라졌고, 

이 과정에서 사라진 돈들을 일부 빼돌린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의혹에 대하여 경남기업 성완종 회장과 측근들은 

해당 금액을 횡령한 사실이 없다고 누누히 밝혀왔는데요. 


심지어 사망 하루전인 4월 8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나는 MB맨이 아니라 MB정부의 피해자라며 

자원외교와 관련한 개발 융자금을 횡령한적이 없다며 

경남기업의 특혜설을 정면으로 부인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이쯤에서 우리는 과연 이명박 전 대통령과 경남기업 성완종 회장의

 관계가 정말 없는지에 대하여 살펴봐야하는데요. 


둘의 인연이라면 경남기업 성완종 회장이 2007년 이명박 당시 대통령 후보가 

당선된 직후 잠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국가경쟁력자문특별위원회에

 이름을 올렸던 적이 있습니다. 

두사람 사이에는 이런 짧은 인연이 있을 뿐인데

 사실 경남기업이 자원외교의 첫 타겟이 된 것도 의아하긴 합니다.


그렇다면 경남기업 성완종 회장이 자살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지금까지 수많은 유명인들이 검찰수사 후 자살을 하였습니다. 

이들이 자살하는 이유는 크게 세가지정도 되는데요. 


첫번째는 본인의 자존심때문입니다. 

이미 정점에 오른 인물들에게 자신들의 비리가 낱낱히 파헤쳐지고 

발가벗겨지는 기분을 감당하기에는 아무래도 힘이들겠죠. 


 두번째 이유는 공소권없음을 노린 것입니다.

 피의자가 사망해버리는 경우 공소를 제기할 수 없어

 피의자가 혐의가 있어도 무죄추정의 원칙에 따라 형사처벌을 피하게됩니다. 


세번째로 자살을 통한 메세지 전달입니다. 

죽음으로 자신이 당한 억울함에 대한 결백을 주장하는 것입니다. 

성완종회장의 경우 이런 경우에 해당할 수 있는데요. 

죽음 전날 기자회견에서 나는 MB맨이 아니라며

 결백을 주장했던 모습을 생각해보면 어느정도 연관성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자원외교의 첫 타겟이었던 경남기업 성완종 회장에 대한

수사는 이렇게 막을 내릴 것으로 보이는데요. 

현재 초유의 관심사인 자원외교 비리에 대한 수사도

 한템포 느리게 진행하여 나갈것으로 예상합니다. 

용두사미식의 수사가 된 셈이죠.


성완종은 누구?


성완종은 경남기업 전 회장으로 2004년부터 2012년까지

 경남기업 회장으로 재직하였으며 

2012년 서산-태안 지역구에서 국회의원에 출마하여 당선되었습니다.

 하지만 총선 전 자신이 만든 장학재단으로 지역주민들을

 지원한것이 들통나면서 벌금 500만원형을 받고 의원직을 상실하였습니다. 

자원외교 비리의혹 수사가 시작되자 첫 타겟이 되었고, 

스스로 목숨을 끊으면서 생을 마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