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MCSS입니다.
오늘은 이라크 내전이 일어난 이유와 유가 및 증시에 미칠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
1. 내전, 왜 일어났나?
먼저 이 사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슬람교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필요한데요, 종파 갈등이 이 문제의 핵심이기때문입니다.
문제가 되는 두가지 종파는 시아파와 수니파입니다.
정말 복잡한문제지만 간단히 설명하자면
시아파와 수니파가 나눠진 이유는 마호메트(이슬람교 창시자이자 성서 코란의 집필자)가 후손을 남기지 않아서입니다.
이때 어떻게 후계자를 선정할 것인지에 따라 시아파와 수니파가 나뉘게됩니다.
마호메트의 추종자들은 메카에서 마호메트의 친구인 아부 바르크를 후계자로 삼았고
메디나의 무슬림은 마호메트의 자손(사위 알리)만이 적통이라고 주장하였죠
여기서 메카의 추종자들은 수니파가 되고
메디나의 추종자들은 시아파가 됩니다.
전세계인구의 1/4정도의 인구를 차지하고있는 이슬람중 시아파는 10%, 수니파는 90%입니다.
시아파가 다수인 지역은 이라크, 이란정도밖에 없고 나머지 중동 이슬람 국가들은 대부분이 수니파입니다.
자 이제 이라크로 가봅시다.
사담 후세인은 수니파였지만 정권을 잡았고 시아파를 탄압하면서 정권을 유지했습니다.
하지만 미군의 침공에 그가 처형당하고 이라크에는 시아파 정부가 들어서게됩니다.
시아파 정부가 들어서고, 미국이 이라크 재건을 충분히 도움을 준후 철수하였지만
ISIL라는 수니파 단체가 이라크를 침공하였습니다.
이들은 시리아내전에 개입하였으나, 별다른 성과가 없었고 이라크로 넘어와 이라크의 제2도시 모술을 점령하였습니다.
2. 내전 진행 방향
내전은 현재 이라크 제2의 도시 모술이 반군에 점령당하였고 미국의 제한적 개입이 예상되고있습니다.
하지만 시아파의 맹주인 이란도 개입의사를 밝히며 확전이 되는 모양새입니다.
앙숙인 미국과 이란이 팔레비 왕조 이후 30년만에 손을 잡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미국이 뭐가아쉬워서 이란과 손을 잡냐고 반문하실수도 있겠지만 이번 사태를 미적지근하게 해결하는 순간 오바마에게 레임덕이 옵니다.
이미 우크라이나에서의 학습효과때문.)
3. 유가의 영향은?
현 사태와 관련하여 정유주가 오르고(특히 흥구석유(024060))건설주는 하락세를 면치못하고있는데
실제 유가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 이유로는 첫번째, 이라크 석유생산시설은 북부가 아닌 남부 해안에 집중되어있으므로 이번내전으로 석유공급에 큰 차질이 없을 것
두번째, 셰일가스 등 대체에너지때문에 석유의 급격한 가격상승이 힘듬
세번째, 미-이란의 군사적협력 및 화해무드 조성으로 사태의 빠른 해결과 함께 석유가격도 안정될 것
아래 기사를 보시겠습니다
이라크 내전 불똥… 국제 유가 꿈틀
6월 17일자 국민일보 기사입니다.
4. MCSS의 뉴스 거꾸로읽기
뉴스에서 이라크 내전에 의해 국제유가가 오를 것이라고예상하지만
실제 중동지역의 석유생산에 큰 문제가 없으며
미국의 개입으로 수니파 맹주인 사우디아라비아의 개입이 가능성이 매우 낮기때문에
유가에 미칠 영향은 미미하다.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시작하며 > 뉴스 거꾸로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9.1 부동산정책 - 9.1 부동산 대책 발표, 재건축연한단축, 주택청약제도 개편 (0) | 2014.09.01 |
---|---|
금리인하 - 기준금리 인하, 금리인하 수혜주, 금리가 인하되면 (0) | 2014.08.14 |
미군 이라크 공습 - 이라크 석유 가격은 변동은?, 이라크 유가 (0) | 2014.08.09 |
쌀 시장 개방 - 쌀 시장 개방 수혜주(관련주), 쌀 수입개방, 쌀 시장 전면 개방 (0) | 2014.07.19 |
환율 전망, 환율과 코스피의 관계는? 달러환율, 환율하락수혜주 (0) | 2014.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