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작하며/뉴스 거꾸로 읽기

쌀 시장 개방 - 쌀 시장 개방 수혜주(관련주), 쌀 수입개방, 쌀 시장 전면 개방

안녕하세요? MCSS입니다.

오늘 살펴볼 주제는 쌀 시장 개방인데요.

단순히 쌀 시장 전면개방의 문제가 무엇인지, 왜 그렇게 되었는지

앞으로 영향은 어떨지 전체적으로 살펴볼까 합니다.




1. 쌀 시장 개방, 왜 하게 되었나?

1993년 우루과이 라운드 체결과 함께 예외없는 관세화 참가를 요구받았습니다.

하지만 쌀 시장 개방은 국민정서상 문제, 식량안보문제, 격렬한 시위

쌀 시장 개방 불가론이 워낙 강했기 때문입니다.

쌀 시장 개방을 안하는 대산 정부는 매년 의무량을 10년간 수입하기로 합니다.

10년이 지난 2004년, 그때도 비슷한 여론이 일자 정부는 의무량을 늘리는 대신 10년간 수입을 더 하기로 하였습니다.

2014년 이제 쌀 시장개방을 공식적으로 하기로 발표하였습니다.

 



2. 쌀 시장 개방, 어떤 방식으로 하나?

정부 쌀시장 개방…"당장 내년부터? 농민들은 어쩌라고"


쌀 시장 개방 소식이 전해지자 여러 네티즌들에게 비난들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한번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사를 찬찬히 읽어보면, 이 장관은 "세계무역기구, WTO 협정에 합치하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높은 관세율을 설정해 쌀 산업을 보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여기서 최대한 높은 관세율은 얼마일까요?

정확한 수치는 나와있지 않지만 대략 300~500%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실제적 수치로 보면 캘리포니아 산 중립종 쌀의 국제가격은 80kg 당 8~9만원

국산 쌀은 80kg당 17만원입니다.

300%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했을때, 8만원 X (8만원 X 300%) = 32만원이 되겠습니다.


17만원의 국산쌀 VS 32만원의 캘리포니아 산 쌀

무엇을 선택하시겠습니까?


국산쌀 충분히 경쟁력있다고 봅니다.


3. MCSS와 뉴스 거꾸로 읽기

쌀 시장 개방, 국산쌀 경쟁력에 문제 없으며

국산쌀의 우수성을 입증하는 계기가 될 것


4. 쌀 시장 개방 관련 수혜주(관련주)

쌀 시장 개방이 되면서 수혜를 받는 주식들이 몇가지 있는데요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1. 조비 -

2. 효성오앤비

3. 팜스토리

4. 영남제분

5. 남해화학

6. 경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