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금/연말정산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는? - 세액공제란, 소득공제란

안녕하세요? 오늘 알아볼 정보는 세액공제와 소득공제입니다.

1년을 정리하는 연말정산기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는데요. 세액공제와 소득공제의 차이를 의외로 많이 모르시는것같아서 설명해드리고자 글을 씁니다.



연말정산은 잘 준비하면 13월의 월급이고 못 준비하면 세금폭탄이라고 하는데요. 올해는 소득공제혜택이 많이 축소되어 잘해야 본전, 못하면 세금폭탄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이해하기전에 우선 이해해야할 것이 있는데요. 바로 과세표준입니다. 과세표준이란 세금을 매길 때 쓰는 기준입니다. 과세표준을 구하려면 월급에서 근로소득공제를 빼고, 각종 공제를 빼면 됩니다. 이 과세표준을 가지고 세액을 내고 산출세액에서 세액공제 및 세액감면으로 결정세액이 결정됩니다.

위 과정을 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월급 - 근로소득공제) - 소득 공제 = 과세표준

  ↳근로소득금액

여기서 월급-근로소득공제를 근로소득금액이라고합니다.


과세표준별 기본세율은 아래와 같은데요. 

 과세표준

세율 

비고 

1200만원 이하 

6% 

 

 1200만원 초과 ~ 4600만원 이하

15% 

 

 4600만원 초과 ~ 8800만원 이하

24% 

 

 8800만원 초과 ~ 3억원 이하

35% 

 

 3억원 초과

38% 

 


과세표준 * 세율 = 산출세액 


산출세액 - 세액공제 = 결정세액


소득공제 : 과세의 대상이 되는 소득에서 공제액만큼 빼주는것

세액공제 : 확정된 세금을 깎아주는것


위의 표를 이해하셨다면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를 대략적으로 아실 수 있을겁니다.

소득공제를 통해서는 과세표준을 낮출 수 있고, 세액공제를 통해서는 산출세액을 낮출 수 있는 겁니다. 따라서 소득이 높을수록 소득공제가 유리하고, 세액공제는 소득이 높을수록 불리합니다. 그 이유는 과세표준별 기본세율을 보면 세율이 누진적으로 증가하고있기때문이지요. 1,200만원 이하의 과세표준을 적용받는 경우 일괄 12%의 혜택을 주기때문에 과세표준상 세율 6%를 넘습니다. 그러므로 소득공제를 받는 것 보다 세액공제를 받는 것이 유리합니다. 하지만 그 이상의 과세표준을 적용받는 경우 현재보다 무조건 불리해집니다.


그럼 예시를 한번 들어볼까요?


연봉 5천만원의 A씨가 연 500만원짜리 연금저축을 소득공제 혜택 조건으로 가입하고있다가 세액공제로 변경될 시

소득공제 = (5,000 - 500) * 15% = 675만원

세액공제 = (5,000만원) * 24% - 60만원(납입액의 12%) = 1,140만원


소득공제로 세액구간을 4600만원 ~ 8800만원에서 1200만원 ~ 4500만원으로 내린 A씨는 연금저축이 세액공제로 변경되면서 4600만원 ~ 8800만원을 적용받으면서 세금을 500만원 가량 더 내는 비극을 맞이했습니다.


자 그러면 2015년에는 어떤 부분이 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로 바뀌었을까요?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연금저축, 보장성보험, 다자녀 공제가 모두 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로 바뀌었습니다.

자세하게 설명드리면 인적공제 분야에서는 2인 100만원, 2명초과 1명당 200만원이었던 다자녀 공제가 자녀세액공제로 자녀 1~2명 1명당 15만원, 2명초과 1명당 20만원으로 통합되었으며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공제가 세액공제 15%로 전환되었고, 보장성보험료, 연금저축, 퇴직연금, 소기업, 소상공인이 세액공제 12%로 전환되었습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는 매년 바뀌는 부분이 생기기때문에 혼자 챙기기가 매우 어려운데요. 연말정산 시즌만 되면 공제액을 계산하느라 머리가 아픈 여러분께 재무설계를 이용하여 절세상담을 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절세상담 받으러가기 [바로가기]


방법은 어렵지 않습니다. 차근차근 따라하시면 되겠습니다.

1. 먼저 바로가기를 통해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2. 간단한 정보 입력 후 추가정보 입력을 합니다. 자녀수, 연소득은 연말정산에 꼭 필요한 정보이기때문에 등록해주시면 더욱 편리하겠죠?

3. 다음단계로 넘어가면 재무사항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기타필요자금에 체크를 하고, 관심있는 재테크는 무난하게 예/적금을 선택할 것을 추천드리며 저축/투자가능금액을 자기 사정에 맞게 적도록합니다. 

다음이 중요한데요 기타문의사항에 절세관련 상담을 받고싶다고 꼭 써주시면 재무설계사분들이 상담에 참고해주시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