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작하며/토막 경제상식

젠트리피케이션이란? - 홍대, 성수동을 중심으로

안녕하세요? 오늘 소개할 내용은 젠트리피케이션입니다. 

젠트리피케이션이 최근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젠트리피케이션이란 무엇인지, 젠트리피케이션의 예시는 무엇이 있는지 보면서

 설명을 드려 보겠습니다. 


젠트리피케이션이란 영국의 사회학자 루스 글래스가 1964년 처음 사용한 개념으로

 젠트리, 즉 신사에서 유래된 말인데요. 

문자 그대로 보자면 어떤 지역이 신사화되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구도심이 번성하여 중산층 이상의 사람들이 몰리면서 

임대료가 오르고 원주민이 쫓겨나는 현상을 이야기합니다.

 이 현상은 도시 재 활성화 현상이라고도 하는데요. 


이것은 도시의 발달과정과도 관계가 있습니다.

 처음 도시가 생기고 발전하는 과정에서 도시의 확대는

 도심의 지가를 높이고 이는 도심의 기능을 상업, 업무 분야로 집중하게 만듭니다. 

이 과정에서 도심에 살던 중산층들은 자가용이 있기 때문에

 교외로 주거지를 옮기게 되고

 도심 주변의 남는 주거지역은 빈민들의 주거지가 되게 됩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높은 접근성과 저렴한 임대료는 독특한 분위기로 인해

 소규모 공방, 카페 등이 생기게 되고

 이런 분위기는 유동인구를 끌어들이게 되고 다시 지가가 상승하게 됩니다.


 지가의 상승은 임대료 상승을 불러오게되고

 대규모 프랜차이즈의 입점으로 

소규모 공방, 카페 등은 다시 다른 지역으로 밀려나게됩니다.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지역 중 대표적인 지역이 홍대, 성수동입니다.

 이외에도 상수동, 경리단길, 삼청동, 가로수길 등도

 젠트리피케이션의 영향을 받고 있는데요. 


대한민국에서 일어나는 젠트리피케이션의 독특한 특징은

임대료의 과도한 상승과 함께 해당 상권의 몰락까지 불러오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상권이 홍대상권인데요. 

2년전까지만해도 홍대는 새벽 6시에도 줄을서서 지하철을 타야하는 

서울의 핫플레이스였지만 

현재 홍대는 높아진 임대료 덕분에 공실이 속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또한 홍대의 과도한 지가 상승은 기존 상인들을 연남동, 상수동으로 옮겨가게 만들었고

 해당 지역이 다시 뜨면서 젠트리피케이션의 초기단계에 접어들게하였습니다. 


잠깐, 그럼 홍대같은 곳은 시장 원리에 따라 임대료가 떨어져야 맞는 것 아니냐고 

반문하실분들이 있으실 것 같습니다.

 일견 생각해보면 시장원리에 따라 최적의 임대료로 임대가 되는게 맞다고 생각할텐데요.





 건물주 입장에서 보면 임대료는 지가와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임대료를 떨어트리느니 공실로 비워두는게 건물주에게는 이득입니다.

모든 건물주의 생각은 비슷할 터이니 상점들은 하나 둘 비게 되겠죠. 

그래서 상권 내 빈 가게가 늘어나게 되면 상권이 점점 몰락하게 되는 겁니다.


초반 젠트리피케이션이 가장 강하게 나타난 지역은 홍대입니다. 

홍대를 기점으로 삼청동, 가로수길, 경리단길 등 

지금까지 소외되어왔던 지역이 핫플레이스로 뜨기 시작했는데요. 

위에 언급된 지역들은 이제 거의 젠트리피케이션이 어느정도는 진행되었습니다.


 다양한 지역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하는 가장 큰 원인은

 점점 상권이 성장하는 속도와 몰락하는 속도가 빨리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기에 특정 지역이 유행처럼 뜨면서 홍대 - 가로수길 - 경리단길 등으로 

순환하던 젊은 층이 어느 순간부터 

강남으로 운집하는 모양새를 가지고 있는점도 한몫합니다. 

가장 큰 이유는 과거 상류층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강남 클럽에 홍대 클럽족들이 입장하면서 부터라고 할 수 있겠네요.


젠트리피케이션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이 과정을 거치고 특색없는 그저그런 상권으로 전락해버린 지역에 대한 

사후 조치를 어떻게 할지 머리를 맞대고 잘 생각해보아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