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MCSS입니다.
오늘은 세금을 아끼는 첫단계로 전기세아끼는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전기세란 전기를 사용한 요금을 이야기합니다. 세금이라는 단어보다는 전기사용요금이 더 적합하지 않나 싶네요. 어쨌든 전기세라는 이름 자체가 공공재의 성격을 띄고있습니다.
전기세를 아끼려면 우선 전기요금 체계가 어떻게 되어있는지 알아야겠죠? 전기요금의 종류를 설명드리면 주택용, 일반용, 교육용, 산업용, 농사용, 가로등용 등 여러가지 종류가 있구요. 이 중 우리가 아껴야할 전기는 주택용 전기입니다. 주택용 전기는 6단계 누진세가 적용됩니다. 대부분의 가정집은 저압전기를 공급받고있습니다.
<출처 엔하위키 미러>
전기요금은 위 표와 같습니다.
표를 보면 전기세 누진 단계가 올라갈때마다 어마어마한 상승률을 보여주는데요. 6단계끝까지가면 무려 30배의 전력이용료를 징수하고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전기를 아낄수록 느끼는 체감가격할인폭이 크겠죠?
그렇다면 전기세아끼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전기세아끼는법 1 - 비데 끄기
비데가 대기전력이 어마어마하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비데의 전기료가 비싼 이유 중 하나는 온수공급과 변좌온도 유지를 위해서라고합니다. 실제로 우리가 화장실에서 대변을 보는 시간은 정말 하루~이틀에 한번꼴인데 비데는 하루종일 켜져있다는것! 그러므로 비데를 사용하지않을때는 코드를 뽑아두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아니면 아예 저는 전기를 아예 쓰지않고 청소가 용이한 기계식비데를 쓰고있답니다.
전기세아끼는법2 - 미사용 코드 뽑기
우리가 사용하는 전자제품들은 주로 언제든지 사용자가 원할때 켤 수 있도록 전원이 꺼져있어도 일정부분의 전력을 대기전력으로 사용합니다. 그런데 사용하지않는 전기코드를 뽑는것만으로도 대기전력이 엄청나게 절약이됩니다. 10%정도의 전력을 아낄 수 있다고합니다. 특히 밥솥, TV, 컴퓨터 등은 뽑아놓으면 엄청난 전력을 절약할수있다고하네요. 이게 귀찮으시면 On/Off기능이 있는 연결선을 사용하신다면 더 간단하게 전력을 절약할 수 있겠죠?
전기세아끼는법3 - 냉장고 관리하기
냉장고는 열때 가장 큰 전력이 소모된다고하는데요. 특히 냉장고를 여는 순간부터 냉장고의 차
가운 공기와 바깥의 차갑지않은 공기가 서로 평형화를 이루려고 하기때문에 냉장고를 한번열때마다 많은 전기가 소모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냉장실은 70%정도만 음식물을 저장하여야 냉장이 용이하다고하구요. 냉동실은 꽉꽉 채울수록 냉동효율이 좋다고하네요. 냉장고 성에도 자주 청소해주면 좋은데요. 냉장고 성에를 청소해주면서 냉장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합니다.
전기세아끼기4 - 에어컨
에어컨 필터와 실외기에 끼여있는 먼지를 제거해주면 에어컨이 훨씬 효율이 좋아져서 전기세가 절약된다고하네요. 먼지가 껴있으면 에어컨을 켜기위해 더 많은 전력이 소모된다고하는데요. 청소로 20% ~ 30%의 효율을 낼 수 있다고합니다.
전기세 아끼는법 4가지 잘보셨나요? 전기요금 계산하는 사이트도 알려드릴테니 한번 찾아가 보셔서 얼마나 절약이 되는 지 직접 실감해보는것도 추천합니다.
'돈아끼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짠순이 절약 노하우 - 돈이 모이는 생활의 법칙 뭐가있을까? (1) | 2015.03.19 |
---|---|
장기렌트카 가격비교 어디서할까? - 장기렌트카 장단점 무엇일까?, 장기렌트카란? (0) | 2015.01.01 |
알뜰폰을 통해 휴대폰요금 아끼기 - 별정통신이란?, MVNO, CJ헬로모바일, 우체국 알뜰폰 (0) | 2014.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