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 소개해드릴 내용은 바로 돈 모으는 5년 공식입니다.
저도 직장 생활을 하고 있지만 목돈을 모은다는 것은 참 힘든 일인데요.
매달 월급을 받고 보너스도 받는데 월말만 되면
도대체 돈이 다 어디로 가버린건지.. 좌절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하지만 돈 모으는 5년 공식을 활용하여 장기간 목돈만들기 - 투자계획을 세워
실행하였더니 지금은 생각보다 많은 돈이 모였습니다.
근데, 왜 하필 기간이 5년일까요?
경기의 순환이 일반적으로 7년 주기로 온다고 하죠.
5년 이상 투자가 길어져 버리면 호경기에서 불경기가 찾아와
자칫 내가 투자한 돈이 오히려 손해를 볼 수도 있기 때문에
경기가 나빠지기 전인 5년차에 한번씩 정산을 하라는 의미에서
기간을 5년으로 설정하였습니다.
그럼 한번 본격적으로 돈모으는 5년 공식에 대하여 알아볼까요?
1. 목표 금액 정하기
제일 먼저 내가 5년간 얼마를 모을 것이다라는 목표를 정해야 합니다.
목표는 개인의 자산에 따라.. 소득에 따라 다르겠지요?
이때 반드시 명심해야 할 사항은 현실적인 목표를 잡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저는 사회 초년생 시절 한달에 130만원 가량의 저축을 했습니다.
당시 월급이 200만원이 조금 안되었으니까 한달에 50만원도 안되는 돈으로
차도굴리고.. 사회생활도 하다보니 결국 몇개월 못가 저축을 해지하였습니다.
이렇듯 내가 저축할 수 있는 맥시멈이 얼마인지 정확히 인지하고
월급 상승이나 추가 수입을 고려하여 5년 후의 내가 모을 돈을 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또한 수익률도 고려하여야하는데요.
일반적으로 저금리 시대에는 3~4%가 리스크를 최대한 줄여 얻을 수 있는 수익률이고,
경기가 좋으면 7~8%정도의 수익률을 리스크 없이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럼 한번 예시를 들어보죠.
한달에 100만원씩 저금하는 A씨의 경우
5년간 3~4%의 수익률을 얻는다면 5년후 얼마를 모을 수 있을까요?
정답은 6400~6500만원입니다.
원금 6천만원에 이자가 4~5백만원 가량 됩니다.
반대로 조금의 리스크를 감수하고 7~8%의 수익률을 얻게 된다면
7천만원 가량을 모을 수 있습니다.
물론 역으로 손해가 조금 난다고 했을때는
5500~6000만원 가량을모을 수 있겠네요.
이렇게 내가 5년이란 기간동안 얼마의 돈을 투자, 저축하고
얼마의 수익률을 올릴 것인지는 기본적으로 정해놓고 시작하는게 바람직합니다.
일반적으로, 최소 월급의 50%는 저축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2. 목표금액에 맞는 행동 수칙 설정
월급이 많은 것이 아니고서야
일반적으로 월급받는 사람들이 투자할 수 있는 돈은 한계가 있습니다.
그 돈을 투자하기 위해서는 지출을 줄이는 과정을 필히 거쳐야합니다.
그래서 저는 여러분의 지출내역을 한번 정리해보기를 추천합니다.
지출내역을 정리하여 어떤 부분에서 얼마나 지출을 줄일 수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야 말로 재테크의 첫 단추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요새는 다행히 스마트폰에 가계부 앱이 나와있어 카드로 결제하는 족족 문자로
내용을 보내주고 입력해주기 때문에
나의 지출을 쓰임새 별로 파악하는 것이 훨씬 더 쉬워졌습니다.
3. 전문가의 도움
우리도 재테크 정보가 넘치는 금융업계에 종사한다면 좋으련만
안타깝게 금융권에서 일하는 사람의 수는 한정되어 있습니다.
거기다 요새는 매달 출시되는 금융상품만 몇십~ 몇백개입니다.
우리가 우리의 본업에 충실하면서 저런 상품들을
모두 모니터링 할 여력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정보가 곧 돈인 현 시대에서는 전문가의 도움은 필수적입니다.
아마 여러분은 부자들이 은행의 PB로 상담받는 것을 보셨을 겁니다.
최근 PB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이제 PB를 꼭 부자가 아니더라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이런 기회를 이용하는 것도 재테크를 하기 위한 좋은 방법인데요.
물론, 우리가 수익률을 정하고, 모을 금액을 정하고, 어떻게 돈을 아낄지
계획을 짜는 것도 중요합니다.
여기에 전문가의 도움이 더해지면 더욱 큰 도움이 되겠죠?
그러나 최근 재무설계사들이 급증하고
개인에 대한 금융상담이 늘어나면서 피해사례도 늘어가고만있는데요.
일부 함량미달의 재무설계사들이 고객에게 금전적으로 피해를 입히기까지하면서
어떤 재무설계사를 만나냐도 중요해졌는데요.
그래서 저는 재무설계사 고르는 기준을 알려드리고자합니다.
제테크 상담 좋은곳 어떻게 찾나?
먼저.. 많은 사람이 제테크 상담을 받은 곳일수록 좋습니다.
지금까지 제테크 상담을 많이 받았다는 것은.. 그만큼 검증된 곳이라는 것입니다.
제가 장담하건데, 제테크 상담 시에 어느정도 제휴상품의 판매를 할 수는 있지만..
제휴상품의 판매가 목적인 업체들은 오래가지 못합니다.
그 이유는? 제테크 상담은 1회성이 아닌.. 일정 주기마다
지속적으로 상담을 해줘야 하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근데 제휴상품의 판매에만 힘쓰는 업체는 금방 문을 닫겠죠?
다음으로 재무설계사의 스펙을 봐야합니다.
최근 재무설계사 자격증 딸랑 하나 가지고
곧바로 컨설팅에 투입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최소한 필드 경험이 3년 이상에 인원은 백 명 이상
상담을 해본 분과 상담을 하셔야..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제가 여러 재무설계사이트를 살펴보며 비교하여보았습니다. 아래 사이트들은 재무설계쪽에서도 매우 유명하고 인기가 많은 사이트입니다.
[리치플랜에셋] - [바로가기]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재무설계사이트입니다. 2015 KCSB 대한민국 고객만족 브랜드대상 수상, 수십명의 전문 재무설계사가 현재까지 20만명이 넘는 사람들의 재무설계를 진행하였습니다.
[코리아재무설계] - [바로가기]
LG CNS 임직원 전문상담을 담당하는 업체로 전국 각지에 지점을 가지고있어, 지방거주자도 지리적 제약없이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저는 위 내용을 설명하면서, 리치플래너컨설팅으로부터 마일리지를 제공받을수도 있습니다.
'종잣돈 모으기 > 월급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금리시대 재테크가 중요한 이유 (0) | 2015.09.23 |
---|---|
대학생 재테크 방법 알아볼까? (0) | 2015.09.09 |
재테크정보, 옥석을 가려라! (0) | 2015.09.03 |
100만원 재테크 방법 무엇이있을까? (0) | 2015.06.03 |
돈모으는방법 - 돈 모으는 습관 뭐가있을까?, 돈 빨리 모으는 방법 알아보기 (0) | 2015.05.17 |